그것: 웰컴 투 데리 해석 후기 원작 영화 드라마 사이의 간격와 연관성은?  
본문 바로가기
영화

그것: 웰컴 투 데리 해석 후기 원작 영화 드라마 사이의 간격와 연관성은?

by kingmin00 2025. 11. 20.
반응형

쿠팡플레이에서 감상가능한 드라마 그것: 웰컴 투 데리 해석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원작과 영화 사이의 차이점 그리고 드라마와의 연결성을 확인해 보는 시간을 가지며 드라마를 통해서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지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것: 웰컴 투 데리

 

 

 

그것 웰컴 투 데리는 영화 그것으로부터 27년 전 페니와이즈가 등장한 시기를 다루게 됩니다. 시즌 2와 시즌 3을 거듭하는 동안 27년 전으로 계속해서 넘어가는 구조이며 드라마는 마을의 배경이 되는 데리가 왜 무관심으로 뒤덮였는가를 보여주게 됩니다.

 

드라마의 시작은 데리마을을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 치는 매티가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하게 되고 남은 아이들은 데리 마을에서 가정 폭력 혹은 어른들의 무관심 속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삶 속에서 매티 실종 사건을 파헤치는 동시에 페니와이즈가 접근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공포를 마주하게 됩니다.

 

매티의 실종과 그 마음을 받아주지 못해 자신의 탓이라 여기는 릴리와 부모 세대의 비극으로 유대인에 대한 피해의식과 전통을 강조받는 테리, 매티의 생일을 외면하고 실종으로 내몰았다는 죄책감에 사로잡힌 필, 마지막 목격자로서 도움을 주미 소해 죄책감을 안게 된 로니까지..

 

드라마는 시작부터 괴물의 공격으로 누군가를 잃고 아이들의 순수함을 짓밟는 어른들의 욕망으로 데리는 타락했음을 은유합니다. 지하 하수관을 통해 들려온 그 소리는 인간 내면의 비유로 매티를 넘어 지옥으로 변한 데리 마을 속의 아이들의 트라우마를 마주하는 동시에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모스크바 지하핵 실험 미군의 비밀실험등도 언급되면서 세상의 비극 역시 마주하는 전개가 펼쳐지게 됩니다.

 

아이들은 어떻게 현실을 마주하고 마을의 비극을 막아낼까요? 

반응형